Leading innovator in aptamer technology
Leading innovator in aptamer technology
PR
분석 및 FDA 규제 전문성과 AI 기반 첨단 데이터 분석 시너지 창출 CRO 사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목표압타머사이언스-셀키, 바이오의약품 분석 혁신 MOU. 사진=압타머사이언스 제공의약품 바이오분석 전문 CRO 압타머사이언스(대표이사 한동일)와 AI 기반 멀티오믹스 분석 전문 셀키가 바이오의약품 분석 및 데이터 분석 분야에서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양사의 차별화된 역량을 융합해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분석 시장에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경쟁 우위를 확보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압타머사이언스는 FDA 등 글로벌 규제 기관의 가이드라인에 특화된 GLP/GCLP 기반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며, 합성의약품과, GLP-1 계열 펩타이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ApDC (압타머-약물 접합체), 항체 등 다양한 바이오의약품 분석 및 선제적인 규제 대응 컨설팅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반면 셀키는 프로테오믹스 심층 분석 연구 경험과 AI, 멀티오믹스 기반 첨단 데이터 분석 역량에서 두각을 나타낸다. 특히, Agentic LLM 기반 AI 분석 기술을 활용해, 축적된 데이터와 문헌 정보를 통합한 지식베이스를 바탕으로 시료 조건에 최적화된 분석법을 예측·제안하는 차세대 플랫폼을 구현하고 있다.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ADC(항체-약물 접합체)와 같은 바이오의약품의 분석 및 특성 분석 품질을 FDA 요구 수준으로 향상시켜, 국내외 시장 진출을 위한 발판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러한 협력은 단순히 두 회사의 기술 결합을 넘어, 국내 바이오의약품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압타머사이언스의 글로벌 규제 전문성을 기반으로 한 첨단 바이오 분석 능력과 셀키의 첨단 데이터 분석 능력이 결합된 시너지 효과는 바이오의약품 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이다.압타머사이언스 관계자는 "양사의 특화된 핵심역량을 결합해 글로벌 진출을 목표로 하는 국내 바이오의약품의 분석 시장을 압타머사이언스 CRO센터가 주도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셀키 관계자는 "이번 협력을 통해 양사가 보유한 기술과 경험을 공유하고 상호 발전을 도모함으로써 AI 기반 바이오의약품 멀티오믹스 분석 기술 융합 분야에서 혁신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기사 바로가기 : 압타머사이언스-셀키, 바이오의약품 분석 혁신 MOU
2025.04.24미국 암연구학회 2025(AACR 2025)에서 발표될 압타머사이언스의 차세대 항암제 파이프라인 'AST-203' 비임상 연구 초록/사진제공=압타머사이언스압타머사이언스가 오는 25일부터 3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 암연구학회 2025'(AACR 2025)에서 차세대 항암제 파이프라인(신약후보물질) 'AST-203'의 비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압타머-약물 접합체(ApDC) 플랫폼에 대한 글로벌 파트너링 및 기술이전 가능성을 모색할 예정이라고 10일 밝혔다.AACR은 세계 최대 규모의 암 연구 학회로 주요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과 연구기관이 참여해 첨단 항암 기술과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다. 압타머사이언스는 이번 학회를 통해 AST-203의 주요 비임상 성과를 공개하고 이에 사용된 ApDC 플랫폼이 항체-약물접합체(ADC) 플랫폼 대비 가지는 강점을 적극 부각할 계획이다.ApDC는 ADC 플랫폼에서 암세포를 타겟으로 찾아가는 물질로 항체 대신 압타머를 활용한 플랫폼으로 ADC와 차별화된 강점을 보유하고 있다. ADC 대비 ApDC의 가장 큰 장점은 항체 대비 10분의 1 정도의 크기인 압타머를 활용함으로써 투약 후 타겟에 빠르게 도달할 수 있고, 암세포 내부로의 침투 또한 수월하다는 점이다.압타머사이언스는 ADC 대비 ApDC의 짧은 반감기는 단점으로 여겨지지만 베도틴(MMAE)처럼 강력한 세포독성 페이로드가 항체와 결합해 장기간 체내에 머무르면서 생길 수 있는 ADC 항암제의 부작용을 줄일 수 있어 오히려 강점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화학적 합성이 가능한 압타머를 활용한 ApDC는 도입되는 페이로드 약물의 개수를 쉽게 조절할 수 있고, ADC 대비 개발 및 생산 기간도 짧아 상업화에 대한 진입장벽이 낮다는 장점도 있어 ADC 시장의 신규 진입을 고려하고 있는 회사들에게 매우 매력적인 플랫폼이라고 강조했다.이러한 ApDC 플랫폼을 활용한 AST-203은 TROP2(영양막 세포 표면 항원-2) 표적 압타머와 MMAE를 결합한 항암제 파이프라인이다. 압타머사이언스는 향후 적응증을 췌장암 외에도 폐암, 유방암 등 다양한 암종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압타머사이언스가 독자 개발하고 특허까지 출원한 분지형 링커-페이로드 기술이 적용됐으며, TROP2 표적에 대해 항체와 비교될 만큼 강한 결합력을 보이고 세포수준에서의 선택성 역시 항체와 비교해 우수한 압타머를 기반으로 설계됐다. 비임상 결과 동일 표적의 ADC인 트로델비 대비 뛰어난 종양 투과성과 안전성,우수한 항암 효능을 보였다.종양 스페로이드 모델 실험에선 항체 대비 최대 8배 높은 종양 중심부 투과도를 기록해 압타머 기반 ApDC 가 가진 약물전달의 효율성을 입증했으며, 세포 수준에서 트로델비 대비 동등이상의 세포 내 바이러스 증식이 50% 억제되는 약물 농도(IC50)의 항암 활성을 보였다. 말초혈액단핵세포(PBMC)와 혈소판전구세포에 대해서는 ADC와는 달리 전혀 독성이 나타나지 않아 보다 안전한 약물전달 플랫폼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이종 이식 췌장암 동물모델 평가에서는 용량의존적 종양 성장 억제와 종양 퇴행이 관찰됐고,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트로델비 대비 우수한 효과를 보이는 투여용량도 확인됐다.압타머사이언스는 ApDC 플랫폼의 활용 범위를 세포독성 약물을 넘어 방사성 동위원소, 표적 단백질 분해제(TPD) 등으로 확장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기관 및 제약사들과 연구협력도 활발히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기사 바로가기 : 압타머사이언스, 美 AACR서 ApDC 플랫폼 조기 기술이전 시동
2025.04.10압타머사이언스는 지난 11일 고형암 치료제 'AST-201' 임상 1상의 첫 환자 투약을 시작했다고 12일 밝혔다. 압타머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 '압타머-약물 접합체'(ApDC, Aptamer-Drug Conjugate)를 활용한 신약 후보물질 중 첫 임상시험 환자 투약 사례다.압타머사이언스의 AST-201은 정상 세포에 영향 없이 글리피칸-3(Glypican-3. GPC3)가 발현한 세포에만 선택적으로 결합해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차세대 표적치료제다. '간세포암·비소세포폐암에서 많이 나타나는 GPC3 단백질을 공략한다. 국내 최초 압타머 기반 표적항암제의 임상 진입이다. 압타머사이언스의 혁신신약(First-in-class) 개발 여정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단 점에서 의미가 있단 설명이다.압타머사이언스는 AST-201 임상에서 항체보다 크기가 10분의 1 수준으로 작은 압타머의 특성을 살려 기존 치료제와 다른 차별화된 기전과 효능을 검증하겠단 목표다. 압타머사이언스가 주도하는 이 임상은 GPC3가 발현되는 진행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다. 분당차병원을 비롯해 삼성서울병원, 세브란스병원, 국립암센터에서 진행한다.간세포암(HCC)은 비교적 증상이 늦게 나타나고 조기 진단이 어렵다. 환자 대부분이 진행성 또는 말기에 진단받기 때문에 수술이 가능한 환자가 20% 미만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근본적인 치료보다 생존 기간 연장과 증상 완화에 초점을 맞춘 치료가 상대적으로 많다.앞서 전 세계적으로 수행된 'IMBrave 150' 임상 연구에 따르면 간세포암 환자에 1차적으로 처방하는 수단인 아테졸리주맙-베바시주맙 병용요법은 약 30% 환자에서 효과가 확인됐다. 1차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에게 2차 치료제를 투여하지만, 반응률이 20% 이하로 낮고 생존율 개선이 크지 않아 효과적인 치료 수단이 부족한 상황이다. 또 간세포암 환자 다수가 간경변을 동반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보장된 새로운 치료제에 대한 미충족 수요가 높다.세계보건기구(WHO) 자료에 따르면 매년 90만명 이상이 신규 간암 진단을 받는다. 특히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지역에서 발병률과 사망률이 세계 최고 수준이다. 아시아 지역 간암 발병은 연간 61만명으로 전 세계의 약 70%를 차지한다. 중국이 36만명으로 아시아 발병 숫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야후파이낸스의 분석에 따르면 글로벌 간암 치료제 시장 규모는 2023년 약 27억달러(약 3조9231억원)에서 연평균 10.9% 성장해 2033년 약 76억달러(약 11조428억원)에 달할 전망이다.이광용 압타머사이언스 전무는 "압타머 신약의 국내 임상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으며, 난치성 암 환자에 희망을 줄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또 "올해 상반기 일부 환자군에 대한 안전성 및 치료 효과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AST-201에 대한 국내외 기술이전 논의가 가속화될 것"이라며 "ApDC 플랫폼 기술에 대한 공동개발 협업도 늘어날 전망"이라고 말했다.기사 바로가기 : 압타머사이언스, 간암치료제 임상1상 투약 시작…"혁신신약 개발 순항"
2025.03.12Trop2 표적 항암제 AST-203, 기존 ADC 치료제 한계 보완… AACR 2025 발표압타머사이언스, ApDC 플랫폼 활용한 차세대 항암제 연구성과 공개AST-203, 종양 억제·퇴행 효과 입증… 글로벌 제약사 협력 확대 기대압타머사이언스 CI. [중앙이코노미뉴스 윤남웅] 압타머사이언스(대표이사 한동일)가 오는 4월 25일부터 30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연례학술대회 2025에서 차세대 항암제 ‘AST-203’의 비임상 연구결과를 발표한다고 밝혔다.미국암연구학회(AACR, 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는 세계 최대 규모의 암 연구 학회로, 매년 전 세계의 과학자, 제약업계 전문가, 의료진 등이 모여 최신 암 연구 및 치료 기술을 공유하는 행사이다. 특히 신약 개발 기업들에게는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글로벌 제약사들과 협력 기회를 모색하는 중요한 자리다.압타머사이언스가 개발 중인 AST-203은 Trop2라는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압타머-약물 접합체(ApDC, Aptamer-Drug Conjugate) 기반 항암제다. 다양한 암에서 과발현되는 Trop2는 항암 표적 단백질로 주목받고 있으며, 항체-약물 접합체(ADC) 기반 치료제인 ‘트로델비’(Trodelvy)에 이어 ‘다토포타맙 데룩스테칸’(Dato-DXd)이 지난 1월 FDA 승인을 받은 바 있다. 리가켐바이오(141080)에서 얀센에 기술수출하고 미국 1상을 진행 중인 ‘LCB84’도 Trop2-ADC다. 하지만 트로델비가 방광암, 요로상피암 및 폐암 적응증 확대에 실패함에 따라 시장에서는 새로운 돌파구를 찾는 추세다.AST-203은 압타머 기술을 활용해 기존 ADC 치료제의 한계를 보완할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압타머는 항체보다 크기가 1/10 수준으로 작아 종양 조직 깊숙이 침투할 수 있고, 빠르게 표적 세포에 도달하여 약효를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신속하게 체외로 배출되므로 부작용이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이번 학회에서는 AST-203의 높은 표적 선택성, 종양 투과성, 세포사멸기전 및 안전성 평가 결과와 함께, 췌장암 동물모델에서의 항종양 효과를 포스터 발표할 예정이다. 특히 기존 ADC 치료제와 비교해 우수한 종양 성장 억제 효과 및 종양 퇴행(tumor regression) 결과가 확인된 것이 주목할 점이다. 압타머사이언스는 향후 폐암, 유방암 등으로 적응증을 확장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다.압타머사이언스 관계자는 “이번 AACR 발표를 통해 ApDC 플랫폼의 혁신성과 AST-203의 가능성을 널리 알리고, 글로벌 제약사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 기회를 확대할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혁신적인 압타머 치료제 개발을 통해 암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공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한편, 압타머사이언스는 방사성동위원소 기반 치료제, 표적 단백질 분해제(TPD), 핵산물질 전달 기술 등으로 ApDC 기술을 확장 중이며, 기존 항암 화학치료제를 넘어 다양한 신약개발 가능성을 열어가고 있다.기사 바로가기 : 압타머사이언스, AACR 2025서 차세대 항암제 ‘AST-203’ 연구결과 발표
2025.02.26“올해 매출확장 및 손익개선 등 긍정적 시그널”압타머 기반 신약개발 기업 압타머사이언스가 지난해 매출 확대와 적자 폭 감소에 성공했다.압타머사이언스는 2024년 매출 7억7017만 원, 영업손실 69억933만 원을 기록했다고 6일 공시했다. 9월 합병을 마친 CRO사업 실적 반영 등에 따라 매출은 전년 대비 200% 이상 증가했으며, 영업손실 규모는 AST-201의 해외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마무리단계 진입 등에 따라 40% 이상 줄었다.회사는 자본확충을 통해 2024년 말 자기자본이 254억 원으로 증가했고 자기자본 대비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비율은 34% 수준으로 낮아져 관리종목 지정 요건에서도 벗어났다고 설명했다. 이 비율이 50%를 넘으면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수 있다.압타머사이언스 관계자는 “관리종목 리스크를 해소한 만큼 신약 파이프라인과 혁신 플랫폼을 중심으로 성과를 창출하는데 모든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며 “2025년 역시 CRO사업 인수 효과 본격화 및 기술 이전, 오픈 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 모두 호조를 보이고 AST-201의 임상단계 진입으로 손익개선 추세도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기사 바로가기 : 압타머사이언스, 지난해 적자 폭 감소…“관리종목 리스크 해소 입증”
2025.02.06한동일 압타머사이언스 대표. /사진제공=압타머사이언스압타머사이언스가 재무 리스크(위험)에서 벗어나 신약 개발에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기술이전을 통해 올해를 혁신 신약 플랫폼의 가치를 높이는 재도약 원년으로 삼겠단 목표다.압타머사이언스는 재무적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안정적인 연구개발 기반을 구축한 데 이어 신약 파이프라인과 혁신 플랫폼의 성과 확보에 속도를 높이겠다고 21일 밝혔다.특히 간암 치료제 'AST-201'의 임상시험 착수와 췌장암 치료제 'AST-203'의 전임상 데이터를 확보하는 데 초점을 맞추겠단 전략이다. 이와 함께 새 기술인 ApDC(압타머-약물접합체) 플랫폼의 가치를 입증하고 가시권에 들어온 기술이전 또는 공동개발 계약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압타머사이언스는 지난해 재무 리스크를 해소한 만큼 안정적인 연구개발 환경을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2024년 결산을 진행 중인데, 지난해 말 자본 확충을 통해 약 170억원의 현금을 확보해 법인세비용 차감 전 계속사업 손실(이하 법차손)을 50% 미만으로 개선했다. 올해도 자본 안정성과 손익 개선을 지속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어 내년엔 법차손 제도 관련 리스크를 완전히 해소할 전망이다.올해는 신약 파이프라인의 연구에 속도를 높이고 ApDC 플랫폼의 혁신성과 확장성을 증명하는 데 전사적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우선 간암 치료제 AST-201의 인간 대상 개념증명(Human PoC) 데이터를 확보하면서 그간 관심을 보인 글로벌 제약사와 기술이전 논의가 텀싯(Term Sheet, 계약이행각서) 단계에 진입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중국 파트너와 면역항암제 병용투여 임상도 진행한다. 췌장암 치료제 AST-203은 다양한 적응증을 목표로 동물실험 데이터를 확보해 전임상 단계에서 조기 기술이전을 추진할 예정이다.압타머사이언스의 ApDC 플랫폼은 항체-약물접합체(ADC)의 한계를 극복한 차세대 혁신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어 여러 국내외 제약사와 다양한 공동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플랫폼의 실질적 가치를 입증하고, 상용화 가능성을 높인다는 전략이다. 또 ApDC에 방사성 동위원소 기술을 적용한 ApRC(압타머 기반 치료용 방사선리간드 표적전달 플랫폼) 기반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앞으로 항암제 시장에서 ApRC 플랫폼의 기술적 영향력을 확대하겠단 전략이다.압타머사이언스는 지난해 인수한 CRO(임상시험수탁기관) 사업부를 통한 매출 기반 확보 성과도 기대하고 있다. ADC와 펩타이드 등 바이오의약품 분석 전문성을 바탕으로 올해 안정적인 영업현금흐름을 달성하겠단 포부다.한동일 압타머사이언스 대표는 "올해를 재도약의 원년으로 삼아 신약 파이프라인과 혁신 플랫폼을 중심으로 성과를 창출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특히 신약 파이프라인 기술이전뿐 아니라 혁신 플랫폼에 대한 오픈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또 "기술이전 선수금 또는 전략적 투자 유치를 통해 재무 안정성을 한층 강화할 것"이라며 "압타머사이언스가 올해 성공적인 임상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성장성과 안정성을 확보하며 유의미한 사업 성과를 이뤄낼지 지켜봐달라"고 말했다.기사 바로가기 : 압타머사이언스 "재무리스크 해소, 기술이전으로 가치 높일 것"
2025.01.21- AST-202, 압타머약물접합체 기반 혈액암 치료…CD25 표적- 약물접합비율 증가 1→3…OS·안전성 개선 확인- 단일 MMAE 결합체 대비 MMAE 약물 손실 대폭 개선출처 : 압타머사이언스[더바이오 유하은 기자] 국내 바이오기업 압타머사이언스가 독자 분지형 링커가 적용된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및 T세포 림프종 등 혈액암 치료제 후보물질인 'AST-202(개발코드명)'의 유효성과 안전성이 개선된 전임상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AST-202는 '전체 생존기간(OS)' 및 '안전성'을 대조군 대비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7일에서 1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미국혈액학회(ASH)' 연례 학술대회에서 공개됐다.AST-202는 'CD25'를 표적하는 혈액암 치료제 후보물질로, 압타머사이언스의 '압타머약물접합체(ApDC)' 기술 플랫폼이 활용됐다. ApDC 기술 플랫폼은 표적전달체로 항체 대신 '압타머'를 적용하는 신약 플랫폼이다.회사는 페이로드(약물)를 접합하기 위한 기술을 접목하고 있고, AST-202에는 '분지형 링커'가 적용됐다. 분지형 링커를 적용한 결과, AST-202의 약물접합비율은 기존 1에서 3으로 증가해 세포독성항암제(MMAE) 약물이 3개가 결합됐다.압타머사이언스는 분지형 링커가 적용된 AST-202의 안전성과 효능 등을 평가하기 위해 전임상을 진행했다. 연구 결과, MMAE 약물이 3개로 증가한 AST-202는 종양세포에 대한 항종양 효과 및 개선된 안전성을 보였다.구체적으로 MMAE의 방출량을 4일 동안 관찰한 결과, AST-202의 MMAE 방출률은 1% 미만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단일 MMAE 결합체가 동일 기간 50~60%의 MMAE를 손실한 것과 비교해 대폭 개선된 결과다. 이는 AST-202의 대사 안정성이 상당히 개선됐음을 의미한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또 약물 노출(AUC)과 반감기(half-life)는 크게 증가하고, 소실률(Clearance)은 감소해 체내에서 더 오래 약물이 유지되고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아울러 피부 아래에 이종이식된 종양 모델에서 AST-202는 단일 MMAE 결합체 대비 종양 억제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또 전이성 종양 모델에서는 단일 MMAE 결합체 또는 약물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 대비 OS를 개선하며 효능을 보였다.연구팀에 따르면, AST-202의 세포독성을 평가하는 실험에서 표적 물질인 'CD25' 발현 수준에 따라 상관관계가 확인됐다. 구체적으로 CD25 발현이 있는 세포에서는 AST-202의 세포독성 효과가 강하게 나타났고, CD25 발현이 없는 세포에서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보고됐다.연구팀은 "이번 전임상 결과를 통해 ApDC 치료제 후보물질인 AST-202가 혈액암에 대해 잠재력을 보였다"고 설명했다.기사 바로가기 : 압타머사이언스 'AST-202', 독자 '분지형 링커' 적용…유효성·안전성 개선
2024.12.11압타머 분자 내에 항암제가 집적된
(또는 내재화된) 압타머-약물 접합체(ApDC)
GPC3 단백질-특이 압타머의 선택성으로
인한 항암약물의 효과적 종양표적 전달
항암제 내성 극복
뇌-혈관 장벽(Blood-Brain Barrier) 투과
압타머를 이용한 약물의 효과적 뇌 수송
트렌스페린(Transferin) 수용체-특이 압타머의 우수한 BBB 투과능
다양한 약물(항체, 핵산, 저분자약물)이 접합된 뇌질환치료제의 개발
면역조절 T 세포(Treg) 선택적
압타머 기반 면역항암제 개발
Treg 의 성장억제를 위한 잠재적 표적분자 CD25 단백질 선택적 압타머
CD25-특이 압타머와 Treg 세포성장 억제를 위한 약물 또는 siRNA 접합 및 표적전달
인슐린 수용체에 대한 알로스테리
아고니스트(Allostery agonist) 압타머
인슐린과는 다른 위치 결합
선택적 당 흡수 기능 활성화
우수한 혈당조절 기능 및 인슐린 치료제의 부작용 (체중증가, 저혈당 등) 최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