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IR/PR

압타머사이언스는 신속하고 정확한 회사 뉴스 제공을
통하여 고객 및 주주와의 원활한 소통을 추구합니다.

언론보도


 미국 암연구학회 2025(AACR 2025)에서 발표될 압타머사이언스의 차세대 항암제 파이프라인 'AST-203' 비임상 연구 초록/사진제공=압타머사이언스
미국 암연구학회 2025(AACR 2025)에서 발표될 압타머사이언스의 차세대 항암제 파이프라인 'AST-203' 비임상 연구 초록/사진제공=압타머사이언스

압타머사이언스가 오는 25일부터 3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 암연구학회 2025'(AACR 2025)에서 차세대 항암제 파이프라인(신약후보물질) 'AST-203'의 비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압타머-약물 접합체(ApDC) 플랫폼에 대한 글로벌 파트너링 및 기술이전 가능성을 모색할 예정이라고 10일 밝혔다.

AACR은 세계 최대 규모의 암 연구 학회로 주요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과 연구기관이 참여해 첨단 항암 기술과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다. 압타머사이언스는 이번 학회를 통해 AST-203의 주요 비임상 성과를 공개하고 이에 사용된 ApDC 플랫폼이 항체-약물접합체(ADC) 플랫폼 대비 가지는 강점을 적극 부각할 계획이다.


ApDC는 ADC 플랫폼에서 암세포를 타겟으로 찾아가는 물질로 항체 대신 압타머를 활용한 플랫폼으로 ADC와 차별화된 강점을 보유하고 있다. ADC 대비 ApDC의 가장 큰 장점은 항체 대비 10분의 1 정도의 크기인 압타머를 활용함으로써 투약 후 타겟에 빠르게 도달할 수 있고, 암세포 내부로의 침투 또한 수월하다는 점이다.

압타머사이언스는 ADC 대비 ApDC의 짧은 반감기는 단점으로 여겨지지만 베도틴(MMAE)처럼 강력한 세포독성 페이로드가 항체와 결합해 장기간 체내에 머무르면서 생길 수 있는 ADC 항암제의 부작용을 줄일 수 있어 오히려 강점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화학적 합성이 가능한 압타머를 활용한 ApDC는 도입되는 페이로드 약물의 개수를 쉽게 조절할 수 있고, ADC 대비 개발 및 생산 기간도 짧아 상업화에 대한 진입장벽이 낮다는 장점도 있어 ADC 시장의 신규 진입을 고려하고 있는 회사들에게 매우 매력적인 플랫폼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ApDC 플랫폼을 활용한 AST-203은 TROP2(영양막 세포 표면 항원-2) 표적 압타머와 MMAE를 결합한 항암제 파이프라인이다. 압타머사이언스는 향후 적응증을 췌장암 외에도 폐암, 유방암 등 다양한 암종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압타머사이언스가 독자 개발하고 특허까지 출원한 분지형 링커-페이로드 기술이 적용됐으며, TROP2 표적에 대해 항체와 비교될 만큼 강한 결합력을 보이고 세포수준에서의 선택성 역시 항체와 비교해 우수한 압타머를 기반으로 설계됐다. 비임상 결과 동일 표적의 ADC인 트로델비 대비 뛰어난 종양 투과성과 안전성,우수한 항암 효능을 보였다.


종양 스페로이드 모델 실험에선 항체 대비 최대 8배 높은 종양 중심부 투과도를 기록해 압타머 기반 ApDC 가 가진 약물전달의 효율성을 입증했으며, 세포 수준에서 트로델비 대비 동등이상의 세포 내 바이러스 증식이 50% 억제되는 약물 농도(IC50)의 항암 활성을 보였다. 말초혈액단핵세포(PBMC)와 혈소판전구세포에 대해서는 ADC와는 달리 전혀 독성이 나타나지 않아 보다 안전한 약물전달 플랫폼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이종 이식 췌장암 동물모델 평가에서는 용량의존적 종양 성장 억제와 종양 퇴행이 관찰됐고,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트로델비 대비 우수한 효과를 보이는 투여용량도 확인됐다.

압타머사이언스는 ApDC 플랫폼의 활용 범위를 세포독성 약물을 넘어 방사성 동위원소, 표적 단백질 분해제(TPD) 등으로 확장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기관 및 제약사들과 연구협력도 활발히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기사 바로가기 : 압타머사이언스, 美 AACR서 ApDC 플랫폼 조기 기술이전 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