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IR/PR

압타머사이언스는 신속하고 정확한 회사 뉴스 제공을
통하여 고객 및 주주와의 원활한 소통을 추구합니다.

언론보도

압타머사이언스는 지난 11일 고형암 치료제 'AST-201' 임상 1상의 첫 환자 투약을 시작했다고 12일 밝혔다. 

압타머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 '압타머-약물 접합체'(ApDC, Aptamer-Drug Conjugate)를 활용한 신약 후보물질 중 첫 임상시험 환자 투약 사례다.


압타머사이언스의 AST-201은 정상 세포에 영향 없이 글리피칸-3(Glypican-3. GPC3)가 발현한 세포에만 선택적으로 결합해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차세대 표적치료제다. 

'간세포암·비소세포폐암에서 많이 나타나는 GPC3 단백질을 공략한다. 국내 최초 압타머 기반 표적항암제의 임상 진입이다. 

압타머사이언스의 혁신신약(First-in-class) 개발 여정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단 점에서 의미가 있단 설명이다.


압타머사이언스는 AST-201 임상에서 항체보다 크기가 10분의 1 수준으로 작은 압타머의 특성을 살려 기존 치료제와 다른 차별화된 기전과 효능을 검증하겠단 목표다. 

압타머사이언스가 주도하는 이 임상은 GPC3가 발현되는 진행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다. 분당차병원을 비롯해 삼성서울병원, 세브란스병원, 국립암센터에서 진행한다.


간세포암(HCC)은 비교적 증상이 늦게 나타나고 조기 진단이 어렵다. 환자 대부분이 진행성 또는 말기에 진단받기 때문에 수술이 가능한 환자가 20% 미만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근본적인 치료보다 생존 기간 연장과 증상 완화에 초점을 맞춘 치료가 상대적으로 많다.


앞서 전 세계적으로 수행된 'IMBrave 150' 임상 연구에 따르면 간세포암 환자에 1차적으로 처방하는 수단인 아테졸리주맙-베바시주맙 병용요법은 약 30% 환자에서 효과가 확인됐다. 

1차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에게 2차 치료제를 투여하지만, 반응률이 20% 이하로 낮고 생존율 개선이 크지 않아 효과적인 치료 수단이 부족한 상황이다. 

또 간세포암 환자 다수가 간경변을 동반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보장된 새로운 치료제에 대한 미충족 수요가 높다.


세계보건기구(WHO) 자료에 따르면 매년 90만명 이상이 신규 간암 진단을 받는다. 

특히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지역에서 발병률과 사망률이 세계 최고 수준이다. 

아시아 지역 간암 발병은 연간 61만명으로 전 세계의 약 70%를 차지한다. 

중국이 36만명으로 아시아 발병 숫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야후파이낸스의 분석에 따르면 글로벌 간암 치료제 시장 규모는 2023년 약 27억달러(약 3조9231억원)에서 연평균 10.9% 성장해 2033년 약 76억달러(약 11조428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이광용 압타머사이언스 전무는 "압타머 신약의 국내 임상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으며, 난치성 암 환자에 희망을 줄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 "올해 상반기 일부 환자군에 대한 안전성 및 치료 효과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AST-201에 대한 국내외 기술이전 논의가 가속화될 것"이라며 "ApDC 플랫폼 기술에 대한 공동개발 협업도 늘어날 전망"이라고 말했다.


기사 바로가기 : 압타머사이언스, 간암치료제 임상1상 투약 시작…"혁신신약 개발 순항"